2019년 이더리움 로드맵 정리
□ 2019년 1분기 : 콘스탄티노플 하드포크
ㅇ 시기 : 2019년 1월 16일(예상)ㅇ 내용
1) 보다 효율적인 정보처리 수단(Bitwise shifting)에 관한 기술적 개선
2) 대규모 코드 실행의 최적화 수단
3) 데이터 저장의 변경에 대한 보다 공정한 가격책정방식의 도입
4) 상태(State) 채널 및 오프 체인 트랜잭션을 기반으로 하는 스케일링 솔루션
5) 채굴보상 감소(3->2ETH) 및 난이도 폭탄* 가동 12개월 지연
* 부연설명
- 난이도 폭탄(Difficulty Bomb)이란, 기본적으로 채굴보상을 받기위해 점차 더많은 컴퓨팅파워를 쓰도록 만든 이더리움 블록체인 내장코드로, 현재는 합의 알고리듬 변경(PoW->PoS)작업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고안됨.
- 채굴보상 감소의 경우, 마치 비트코인 커뮤니티에서 '블록사이즈'가 쟁점이듯, 이더리움 커뮤티니 역시 이더리움 커뮤니티에서는 '채굴보상'은 민감한 사안.
- 그 이유는, 채굴보상이 증감에 따라 이더 시세에 영향을 끼치고 이는 곧 보안(공격에 대한 저항성)과도 연관되기 때문임.
- 아울러, 발행량이 정해진 비트코인과 달리 이더리움은 발행량이 제한되어있지 않으면서 채굴보상의 공식적인 합의가 없기때문에 변동가능한 채굴보상에 대해 보다 민감할수 밖에 없음.
※ 참고로, 채굴보상 감소와 난이도 폭탄 가동 지연을 동시에 하려는 이유는, 동시적용해야만 블록생성속도를 적절히 조절할수 있기 때문으로 보임.
![]() |
<https://medium.com/@icebearhww> |
□ 2019년 2분기 ~ 3분기 : Ethereum 1.x 또는 이스탄불로의 여정
< Ethereum 1.x >
ㅇ 개념 : 이더리움 데브콘4에 핵심개발자 간 토론에서 나온 용어로, 언론의 플레이, 개발자간 이견 등 논란을 최소화 하면서, Ethereum2.0을 위한 추진력을 얻기 위함ㅇ 시기 : Etherem2.0(=Serenity, PoS로의 전환)이전 기간
ㅇ 내용
- 확장성& 최적화 : 트랜잭션 처리량을 늘리고, 블록가스한도 높이기
- 효율성 : 스토리지 대여로 디스크 필요공간을 줄이거나 제한하여 전체노드를 계속 운영할수 있는지 확인
- 개발성 향상 : EVM 1.5 및 eWasm* 등 VM개선을 통한 개발역량 증진
* 향후 Serenity단계에서 EVM을 웹 어셈블리 기반인 eWasm으로 변경할 계획임. 이것은 기존의 EVM에 비해서 솔리디티 외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이 가능(범용성)하고, 빠른 속도로 트랙잭션 처리가 가능(속도향상)하며, 웹어셈블리 개발 커뮤니티의 지원을 그대로 받을수 있음(인력풀 증가). 이더리움 전용 언어인 솔리디티(Solidity) 외에도 여러 종류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할 수 있게 되며, 성능 향상도 기대할 수 있음.
< Istanbul HardFork(HF) >
ㅇ 개념 : 이더리움 개발자인 Afri Schoedon이 명명한것으로 콘스탄티노플 HF 이후 추가적인 개선안을 일정기간 내 설정한것으로, 이는 시기와 내용을 커뮤니티 내 공유하여 보다 내실있는 로드맵을 추진하기 위함.ㅇ 시기 및 내용(예정)
- 19.01.16 (수) 콘스탄티노플 HF
- 19.05.17 (금) 이스탄불 제안을 받아들일 (확고한) 마감시한
- 19.07.19 (금) 주요 클라이언트 실행안을 위한 (협의가능한) 마감시한
- 19.08.14 (수) 테스트넷에서의 하드포크(Ropsten, Görli, 또는 다른 임시 테스트넷)
- 19.10.16 (수) 이스탄불 HF
*이 기간 안에 ProgPow(ASIC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고안된 알고리듬) HF가 있을수 있음
□ 2019년 4분기 : Ethereum 2.0(=Serenity)
- 개념 : 이더리움의 PoS 전환(캐스퍼)을 포함한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체질개선 프로젝트(1.Frontier → 2. Homestead → 3. Metropolis → 4. Serenity)- 시기 : 2019년 내 최초단계인 0단계 개시가 목표이며 3단계부터는 현재 예상하기 어려움
- 내용
1) 0단계 : 비콘체인(캐스퍼가 작동되면서 기본적인 샤딩 관리가 이루어지는 곳) 출시
2) 1단계 : 샤드(데이터를 쪼개 스토리지로 이용) 추가
3) 2단계 : 샤드위에 eWasm 탑재
4) 3단계 및 그 이후 : 추가개선, 더 나은기술 도입 등
* 부연설명
- 비콘체인(BeaconChain)은 메인체인과 연결된 별도의 체인으로서, 캐스퍼를 작동시키게 하고 기본적인 샤딩 관리를 함
- 비콘체인의 유효성 검증자는 캐스퍼와 샤딩 검사를 모두 하게되며 검증을 위해 최소 32이더를 메인체인에서 비콘체인으로 이더를 옮겨 스테이킹함.
- 검증자의 최소조건이 32이라면 이론상 최대 검증자 수는 3백만이 넘음(=100,400,000/32)
- 단, 향후 하드포크를 통해 메인체인으로 송금기능이 추가될때까지는 비콘체인으로 송금만 가능하며 이는 메인체인의 보안성을 향상시키며 개발을 진행하기 위함
- 비콘체인과 샤딩파트가 완전한 작동될때쯤이면 비콘체인이 샤딩시스템의 메인체인이 되어있을 예정임
- 아울러, 향후 개발진척도를 두고 봐야겠지만 비콘체인에 캐스퍼가 올려지고 이후샤딩이 추가될수도 있음
법적 고지 : 본 게시글은, 투자를 위한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기에 투자결정은 신중을 기하여 주시기 바라며, 참고자료를 토대로 본인 판단하에 내용을 추가, 편집 등 작성되었기에 본인의 허락없이 복사, 배포, 편집 등을 할 수 없습니다.
0 댓글